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학과 학생 중 교직과정 이수를 희망하는 자는 2학년 1학기부터 소정의 교과목을 신청하여 이수할 수 있다. 교직과정 이수를 중도에서 포기한 자와 교직과정 이수자로 선발되지 않은 자가 이미 이수한 교직과목의 학점은 일반 선택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.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자는 교원자격증 표시과목에 대한 기본이수영역에 상응하는 과목을 7과목(21학점) 이상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. 교직과정 복수전공자는 해당표시교과목(학과) 의 교과교육영역 8학점이상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한다. 교직과정 복수(연계) 전공 이수 희망자는 2학년 초 교직이수 신청서를 주전공 학과와 복수(연계)전공 학과 사무실에 각 각 제출하여야 한다.
교직과정 이수 희망 신청서 제출 제출시기 : 2학년초 수업일수 1/4 이내 제 출 처 : 본인 → 학과사무실 → 단과대학 교직과정 이수예정자 선발 선발시기 : 2학년 종료(개강하기 전 선발) 선발방법 : 교직과정 이수희망 신청서 제출자 중 인·적성, 성적 등을 고려하여 소속 대학장이 선발 → 총장 확정
교육실습 학교 조사서 제출 제출시기 : 3학년 2학기 제출처: 본인→학과 →단과대 →본부(교육지원과) 교육실습 대상학교 선정 선정시기 : 해당 학년도 초 (1~2월 중) 선정절차 : 교육실습학교 사전수요조사 및 교육실습 사전승낙서(본인)에 따라 배정의뢰 후 확정 실습경비 : 해당학생 부담(교원자격검정령시행규칙 제 12조 별표3) 산업체 현장실습 : 공업계 표시과목(중등학교 2급정교사) 관련학과에서는 교육실습과 별도로산업체 현장실습(4주 이상)을 반드시 이수해야 함
전공과목 | 교직과목 | 비고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영역 | 학년/학기 | 이수학점 | 계 | |||
42학점 이상 (기본 이수영역14학점(5과목) 이상 포함) | 교직이론 | 교육학개론 교육심리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사회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|
2-1 2-1 2-2 2-2 3-1 3-2 3-2 |
14학점 (7과목) 이상 | 20학점 이상 | 학부이수 과목포함 (교육실습 4주이상) |
교과교육 | ○○교재연구 및 지도법 ○○교육론 |
4학점 (2과목) 이상 | ||||
교육실습 | 교육실습 | 4-1 | 2학점 이상 |
※ 졸업 평균성적 전공과목과 교직과목의 평균성적 각각 80점 이상
전공과목 | 교직과목 | 비고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영역 | 학년/학기 | 이수학점 | 계 | |||
50학점 이상 (기본 이수영역14학점(5과목) 이상 포함) | 교직이론 |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사론 평생교육론 |
2-1 2-2 3-1 3-2 2-1 2-2 3-2 |
14학점 (7과목) 이상 | 22학점 이상 | 교육봉사활동 60시간 교육실습 4주 이상 |
교직소양 | 교직실무 특수교육학개론 |
3-1 3-2 |
4학점 (2과목) 이상 | |||
교육실습 | 교육봉사활동 교육실습 |
4-1 4-1 |
4학점 (2과목) 이상 |
※ 졸업전체 평균성적 75/100점 이상
※ 학과의 교과교육은 전공영역이나 반드시 이수해야 함
영역 | 2008학년도 이전 입학자 (2010학년도 이전 편입자) |
2009학년도 이후 입학자 (2011학년도 이후 편입자) |
2013학년도 이후 입학자 (2015학년도 이후 편입자) |
|
---|---|---|---|---|
교직과정이수과목 | 교직이론 | 14학점이상(7과목이상) - 교육학개론 - 교육철학 및 교육사 -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-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- 교육심리 - 교육사회 -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|
14학점이상(7과목이상) - 교육학개론(2학점) - 교육철학 및 교육사(2학점) -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(2학점) -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(2학점) - 교육심리(2학점) - 교육사회(2학점) -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(2학점) |
12학점이상(6과목이상) - 교육학개론(2학점) - 교육철학 및 교육사(2학점) - 교육평가(2학점) - 교육심리(2학점) - 교육사회(2학점) -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(2학점) (※ 교육학논술연구의 경우 교직이론학점으로 인정이 되지 않으므로 교직이론영역 12학점을 모두 이수한 후 수강 가능) |
교과교육 | 4학점이상(2과목이상) - 교과교육론 -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|
전공교과에 편성이수 | 전공교과에 편성이수 | |
교직소양 | - | 4학점 이상 - 특수교육학개론(2학점) - 교직실무(2학점) |
6학점 이상 - 특수교육학개론(2학점) - 교직실무(2학점) -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(2학점) |
|
교육실습 | -교육실습(2학점) | 4학점이상 - 교육실습(2학점) - 교육봉사활동(2학점) |
- | |
전공과목 | 42학점이상 - 기본이수과목 5과목(14학점)이상 포함 (*소속학과 지도 및 확인) |
50학점이상- 기본이수과목 7과목(21학점)이상 포함(*소속학과 지도 및 확인) - 표시과목별 교과교육영역 3과목(8학점이상 포함) |
50학점이상 - 기본이수과목 7과목(21학점)이상 포함(*소속학과 지도 및 확인) - 표시과목별 교과교육영역 3과목(8학점)이상 포함 |
|
교직 인·적성검사 | - 교직 적성.인성검사에서 적격판정 1회 이상 | - 교직 적성.인성검사에서 적격판정 1회 이상 | - 교직 적성.인성검사에서 적격판정 2회 이상 | |
복수전공, 연계전공 이수학생의 무시험검정 기준 | - 전공과목 42학점(기본이수과목 14학점, 5과목 이상 포함) - 교과교육영역 4학점(2과목)이상 포함 |
- 전공과목 50학점(기본이수과목21학점, 7과목이상 포함) - 교과교육영역 8학점(3과목)이상 포함 |
- 전공과목 50학점(기본이수과목 21학점, 7과목이상 포함) - 교과교육영역 8학점(3과목)이상 포함 |
|
성적기준 | - 졸업전체 평균성적 - 전공 80/100점 이상 - 교직 80/100점 이상 |
- 졸업전체 평균성적 - 75/100점 이상 |
- 졸업전체 평균성적 - 전공 75/100점 이상 - 교직 80/100점 이상 |
|
기타 | - 산업체 현장실습 이수확인(공업계 표시과목 취득자에 한함) - 간호사 면허증 또는 영양사 면허증(보건교사 또는 영양교사에 한함) -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2회 이상 |
- 산업체 현장실습 이수확인(공업계 표시과목 취득자에 한함) - 간호사 면허증 또는 영양사 면허증(보건교사 또는 영양교사에 한함) - 대학의 장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(일정수준 이상의 외국어 능력(외국어 교사자격증 취득자에 한함 -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2회 이상 |
- 산업체 현장실습 이수확인(공업계 표시과목 취득자에 한함) - 간호사 면허증 또는 영양사 면허증(보건교사 또는 영양교사에 한함) - 대학의 장이 별도로 정하는 기준(일정수준 이상의 외국어 능력(외국어 교사자격증 취득자에 한함 -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2회 이상 |